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름다운 건축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

낭만여행 사찰

by choi123 2014. 7. 29. 21:24

본문

 

 

 

 

 

 

                                                           무량수전 (국보18호)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광명을 지었으므로 무량주물로 불리는데 "무량주" 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하나이다. " 삼국유사 "에는 의상이 태백산에가서 조정의 뚯을 받들어서

                    부석사를 세우고 대승불교를 포교하니 영감이 많이 나타났다고 전한다.  절이 생겨날 당시에는 지금같은 대규모가 아니

                    였다고 한다.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2월에 "의상대사"가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석사에 관한 해설은 부석사 홈페이지에 글을 옮긴 내용들입니다. )

 

 

 

 

 

 

 

 

 

 

 

                의상이 제자들을 거느리고 소백산이나 태백산 등지에서 초가를 짓고 불경을 강의하거나 토굴에서 화엄세계의 심오한

                뜻을 닦는 것으로 보아 7세기 후반의 부석사는 의상의 영정이 조사당을 중심으로 초가집 몇채 있는 아주 청빈한 양상

                이었을 것이다. 

                부석사가 위치한 태백산은 신라 오악 가운데 중사를 지내던 곳으로 흔히 북악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의상의 법손들

                을 북악파라고 하였다.

               

 

                화엄종의 본찰인 부석사는 거대한 가람으로 승려가 되기위해 처음 출가하는 곳으로 유명해졌다.

 

 

 

 

 

 

 

 

 

 

 

 

                    조선시대에 부석사를 중수한 기록은 자주 발견된다. 조선 성종 21년 (1490년) 에 조사당을 중수하였고 성종 24년(14

                 93)에 조사당에 단청을 하였다. 명종 10년(1555)에 화재로 인해 안양루가 소실되었으며 선조 6년 (1593)에는 조사당

                 지붕을 개수하였고, 선조 9년(1596)부터 11년까지 석린스님에 의해 안양루가 중건되었다. 

 

 

 

 

 

 

 

 

 

 

 

 

 

 

 

 

 

 

 

 

 

 

 

 

 

 

 

 

 

 

 

 

 

 

 

 

 

 

              (원형국사비문) 에 의하면 고려 현종7년 (1016)원융국사가 무량수전을 중창하였다고 한다. 1916년 실시된 해체공사 때

              발견된 서북쪽 귀공포의 묵서에는 공민왕 7년 (1358) 왜구에 의하여 건물이 불타서 우왕2년(1376)에 원융국사가중수하

              였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건축양식이 고려후기 건물과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원래 건물은 이 보다 약100년 정도 앞선

              13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황해군3년 (1611)에 서까래를 깔고 단청을 하였다.

 

              무량수전의 건축양식으로 기둥의 배흘림은 기둥머리가 넓어 보이는 착시현상을 막기 위한 것인데 무량수전의 기중은 강

              릉객사문 다음ㅇ로 배흘림이 심하다.

              

 

               무량수전 정면 중안칸에 걸린 편액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이다.

 

 

 

 

 

 

 

 

 

                                                        아미타여래좌상(국보제45호)

 

 

                        무량수전 내부에는 보통은 대웅전이라 불리는 곳이지요.   부석사는 무량수전이라는 명칭을 썼습니다.

                        다른 사찰과 다른 것은 이 안에 부처님을 보필하는 두분이 없으시고 아미타부처님 오직 한분의 좌상만을

                        모셔놨습니다.   그리고 좌측 깊은 곳에 작게 신장단을 모셔놓은 것이 괭장히 특이하게 되어있습니다.

 

                         아미타여래좌상님 오직 한분만을 독불로 보셔놓은 부석사입니다.

 

 

 

 

 

 

 

 

 

                         불경에서는 아미타부처님은 사후세계에서 극락세계로 이끌어 주시는 부처님으로 알려져있는데요

                         처음 뵈는 사람도 금방 친근해서 마음에 믿음이 생기고 편안해지는 그런 모습에 아미타부처님이 이곳

                         무량수전에 계셨습니다.   사진촬영은 요즘 모든 사찰에서 금지하고 있는 관계로 밖에서 열린 문으로

                         뵌 모습을 사진에 담아봤습니다.

 

 

 

 

 

 

 

 

 

 

                                    무량수전 앞에 있는 탑에서 본  "무량수전" 글자가 흐릿하게 보이지요.

                                    일행중에 오신 어느 분의 코치를 받아 찍어봤습니다.

 

 

 

 

 

 

 

 

 

 

                     쌍탑이 있는 숲에서 얼굴을 탐스럽게 내밀고 있는 색이 잉크빛이 나는 수국 이런 잉크색수국은 처음 본 것

                     같습니다. 어찌나 신기하던지요.  정말 탐스럽게 피였습니다.

 

 

 

 

 

 

 

 

 

 

                         부석사는 탑이 모두 세개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무량수전으로 오르기 전 쌍탑이 있는 곳에서

                         옆으로 단아하게 보이는 요사체 작은 건물과의 조화가 안정감이 있고 정겹게 보이는 풍경이였습니다.

 

                          규모가 큰 사찰에서는 좀처럼 느낄 수 없는 아기자기한 공간이여서 위화감이 없어 누구나 쉽게 오기

                          좋은 곳이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사실 이 곳은 지난 봄에도 지인이 몇칠 쉬러 간다며 나와 동행하기를 권유했던 곳이였는데 제가 워낙

                         잠을 제때 못자면 더욱 맥을 못추는 체력이라서 쉽게 동행을 못했던 곳입니다.

                         언젠가는 몇칭 이곳에서 기도는 못하더라도 아침에 떠오르는 해와 지는 해를 보면서 뜻 깊은 시간을

                         보내면 좋겠습니다.

 

 

 

 

 

 

 

                     저기 부석사라고 씌인 누각 안쪽 처마밑으로 붉은 장삼을 두르시고 좌상을 하고 계신 듯 보이는 부처님

                     다섯분의 모습이 보이시나요.   가이드의 해설에 의하면 이곳에 숨은 보물이라고 하는데요.  이 부처님들

                     모두 친견하신 분들은 좋은 일만 있을 거라고 합니다.  좋은 얘기는 믿는 것이 좋습니다.

 

 

 

 

 

 

 

 

 

 

                       이곳에 아름다움이 돋보였던 건 굵은 통나무결이 세월에 흔적을 담고 단청을 하지 않아서 나무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살렸다는 것에 있는 것 같습니다.

 

                       보궁 통도사에도 단청을 하지 않아서 자연상태로 변해가는 상태를 보면서 더욱 깊이 있는 사찰의 모습으로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맑고 투명하게 해주고 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가까운 일본에도 사찰등이 많은데 대부분 모두 자연나무색 그대로여서 보는 사람이 편안하게 다가 갈 수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것만큼 마음에 와 닿고 신선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부석사를 저는 처음 이 날 오게 되었습니다.   해인사와 통도사등 명산에 있는 이름있는 유명

                      사찰들은 모두 몇번이나 다녔었지만 왠일인지 부석사와는 인연은 이번에 처음이였는데요.

                      상상 이상으로 이곳에 아름다움에 가슴까지 숨이 벅차서 그냥 아무것도 안하고 앉아 있고 싶었습니다.

                      보이는데로 느끼고 생각하면서....짧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오는 길목에는 영주 사과가 아주 유명하지요.  사과알이 제법 꽤 굵은 것이 바구니에 담아 노점에 나와있었어요.

                      잘은 모르겠지만 앞이 탁 트인 것이 십리밖까지도 보이지 않을까, 높은 곳에서 보이는 소백산 풍경은 일품

                      중에 최상이였습니다.

 

 

 

 

 

                         명산이여도 절터를 아주 잘 잡았던 것 같습니다.  의상대사가 처음 임금의 뜻을 받들어 이곳에 작은 터전을

                         잡았던 곳에 크게 절의 형태를 갖추며 건축을 했습니다.   의상대사는 이곳을 떠나지 않으셨고 78세에 이곳

                         에서 열반에 드셨다고 합니다.  이 아름다운 풍경을 두고 어디로 가실 수 있었을까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여름 날 잉크빛 수국이 소담스럽게 피여 시원함을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영주 부석사 서울에서 출발하는 직행버스도 있다고 하지만 운전해서 오면 두시간 좀 넘게 걸려서

                                   일부러 오려면 큰 맘먹고 와야 하는 곳이지만 종종 앞으로는 머뭇거리지 말고 계절따라 오고 싶어

                                   졌습니다.  사과가 익어가는 가을이면 더 좋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