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봄꽃들의 향연 창덕궁의 봄 1

서울의 명소 산책

by choi123 2014. 4. 4. 12:07

본문

 

 

 

 

 

                                                                        돈화문 (창덕궁의 정문 )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은 1412년(태종 12)에 건립되었다. 창건 당시 창덕궁 앞에는 종묘가 자리 잡고 있어

                     궁의 진입로를 궁궐의 서쪽에 세웠다. 2층 누각형 목조건물로 궁궐 대문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며, 앞에 넓은

                     월대를 두어 궁궐 정문의 위엄을 갖추었다.

 

 

 

 

 

 

 

 

 

 

 

 

 

           

 

 

                  돈화문은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가 있을 때 출입문으로 사용했고, 신하들은 금지 시간에는 종울 울리고 해제 시간에는

                  북을 쳤다고 한다. 돈화문은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광해군이 즉위한 이듬해인 1609년에 재견되었으며 , 보물 제383

                  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민정치가 이뤄지기도 했던 돈화문)

 

                    영조는 재위 4년째인 1728년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후. 돈화문 2층 돈화문루에서 한곽레를 받았다.

                    한곽례는 싸움에 나간 장수가 적장의 머리를 왕 앞에 바치는 의식을 말한다. 이때 영조는 서울에 사는 노인들을

                    돈화문 앞에 초청하여 난의 원인이 당쟁에 있음을 지적하고 여기에 가담한 백성들에겐 중죄를 주지 않을 것이라

                    하였다. 돈화문 앞 광장은 이처럼 대민관장이기도 했다.

 

 

 

 

 

 

 

 

 

 

 

 

 

 

 

 

                                        창덕궁           국보 제 249호

 

 

 

                    1405년   (태종 5) 창덕궁 창건

                    1406년   (태종 6) 창덕궁 동북쪽에 후원 조성

                    1463년   (세조 9) 세조, 후원을 확대 조성함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됨

 

                    1610년 (광해2) 선정전, 확장됨 대조전등 주요전각들 재건

                    1623년 (광해15) 인조반정 당시 실화로 주요 전각들이 소시됨

                    1638년 (인조14) 옥류전 정원 조성

                    1647년 (인조25년) 주요 부분 재건 공사

 

 

 

 

 

 

 

                                            

                    1704   (숙종 30) 서원지역에 대보단 건설

                    1778   (정조)  규장각과 주합루 조성

 

 

                    1917  대조전에 큰 화재가 발생해 대부분의 내전 소실

                    1921 후원에 신 신원전 건립

                    1991  각종 복원공사가 시작됨

                    1997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아무나 칠 수 없었던 신문고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이 있다. 이 문에는 신문고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는데, <경국대전> 에는 " 원통하고

               억울한 일을 호소할 자는 소장을 내되, 그래도 억울하다면 신문고를 두드려라 " 라고 신문고 치는 절차를 밝혀 놓았다.

 

               일반 백성들이 이러한 절차를 다 밟기도 어려웠거니와, 병사들이 지키고 있는 돈화문을 통과하여 신문고를 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힘든 신문고는 포기하고 왕의 행차에 뛰어들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백성들이 많아

               져 조정의 골칫거리가 되기도 하였다.

             

 

 

 

 

 

 

 

                                                                  금천교 

                                                                                        보물 제 1762호

 

 

                 예로부터 궁궐을 조성할 때에는 궐 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명당수를 건너게 하였다. 이 물은 궁궐의 안과 밖을 구별해주는

                 경계 역활을 하므로 금천이라고 하며, 창덕궁의 금천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돈화문 동쪽 궐 밖으로 빠져 나간다,

 

                 1411년(태종11) 금천에 다리를 놓았는데, 비단처럼 아름다운 물이 흐르는 개울에 놓인 다리라 하여 "금천교" 라 불렀고,

                 현재 궁궐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돌다리로서 2012년 보물 제 176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개국 후 규모가 큰 경복궁이 창건되었는데도 태종이 새로운 궁궐을 세운 까닭은 무엇일까? 태종은 경복궁의

                 형세가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으나 실질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었던 것 같다. 두번에 걸친 "형제의 난" 으로 정적

                 정도전과 이복동생들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태종으로서는 그 피의 현장인 경복궁에 기거하는 것이 꺼려졌을 것이다.

                 창덕궁이 세워짐으로써 조선 왕궁의 궁궐 체제는 법궁-이궁의 양궐 체제가 된다.

 

 

 

 

 

 

 

 

                  동궐도

 

                (궁궐에 화가인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의 전체를 그린 그림)

 

                국보 제 249호 창덕궁와 창경궁의 전체 모습을 그린 가로 576cm , 세로 273cm의 큰 그림, 열여섯 폭의 비단에 동양화가

                의 서양화의 기법을 모두 활용하여 아름답게 채색한 이 그림은 1826년에서 1830년 사이에 궁중 화가인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한다. 건물뿐 아니라 다리와 담장.괴석까지 실제 모습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각 건물의 이름도 기재하여

                궁궐 연구의 복원작업에 결정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궁궐이 가장 번성했던 시절을 기록한 그림으로 예전의 영화를 재현

                하고 있다.

 

                (동궐도의 그림 포스팅은 못 올렸습니다  궁금한 분들은 인터넷에서 자료화면을 찾아 보시길 바랍니다)

 

 

 

 

 

 

 

 

 

                  따뜻한 봄기운으로 매화꽃이 만개한 창덕궁에 모습은 평화롭고  단아하면서 아름다운 모습이였습니다. 

                  이 사진은 수요일 4월9일 오후였는데요. 창덕궁으로 들어가면 인정전을 지나 후원쪽 언덕을 내려가면 낙선재 별채

                  가 있습니다. 낙선재 후원 뜰에  개방소식으로 봄꽃들이 만개를 궁궐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것이 목적이였는데 단

                  몇시간의 궁궐 산책으로 역사를 새롭게 알아가고 이해하는 데 좋은 여러가지 의미가 된 시간이였습니다. 

 

 

 

 

 

                                                                         

                                                         낙선재 

                      어린 영친왕이 일본으로 끌려가지 전에 2년을 살았고, 이방자여사가 생을 마감하신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일이였는데도 시민들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안내하시는 분을 따라 많은 분들이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입니다

 

 

 

 

 

 

 

 

                  (낙선재 후원 뜰 풍경은 사진을 못추리고 있어서 포스팅 올릴 때까지 우선 낙선재부근에 모습들 올립니다  )

 

 

 

 

 

 

 

 

 

                  마음에 화사한 봄꽃을 담으며 의미있는 산책이였는데요.  바쁘게 사는 요즘이지만 가까운 궁궐로 봄나들이 가시면

                  평소에 소홀했던 우리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아름다운 봄꽃향기에 마음이 정화되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