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명화를 만나다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낭만 문화에 산책

by choi123 2013. 11. 7. 23:20

본문

 

 

명화를 만나다                                       

한국근현대회화 100선                                                       

MASTERPIECES of MOODERN KOREAN PAINTING                                                  

                                                               

<명화를 만나다 한국근현대회화100선> 전은 한국미술사의 큰 업적을남긴 화가 57명의 수묵채색화,유화등 회화작품 100점을

           엄선하여 한국회화의 진수를 살펴보고자 한다.이러한 작품들은 도전적인 실험정신에서부터 최절정기의 완숙함에 이르기까지          

 화가들의 치열한 창작의지와 열정을 담고 있으며 20세기 초 역사의 격랑 속에서 관람객들과 함깨 희애락을 나누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이전 전시회는 1920년대부터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회화작품을 통해 한 

      국 근현대 회화의 반세기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근현대미술계를 빛낸 작가 57명의 수묵채색화 30점, 유화 70점이 출품된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그 시절 미술가들의 노고와 열정을 망각하고 있지만 근현대 시기 한국미술가들이 성취한 결과는 매우크다

     20세기 초부터 미술가들은 망국의 설움, 일제식민지, 서구근대체제의 도입, 태평양전쟁,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등으로 이어진

         전쟁.독립의 과정, 분단의 상흔, 정치사회적 혼란과 갈등과 같은 복잡다단한 역사의 현장을 목격하고 극복하여 나갔다.                 

           더욱이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미술에 대한 무지와 미술가들에 대한 무시,경제적인 어려움 역시 미술가들이 맞닥뜨린 또 다른 시련    

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러한 어려움에 굴복하지 않고 미술활동을 펼쳐나갔으며 시대정신을 구현하고,예술가로서 자긍심을

  지니고 노력하였다.그러므로 이러한 작품들은 작가들의 꺼지지 않은 예술혼이 결실을 맺은 결과이자 한국근현대시기의 여정을

       함깨 걸어온동반자이기도 하다. 더욱이 작가, 소장가, 소장기관이 작품을 수집, 보관한 노력의 덕택으로 그러한 인고의 세월을 살 

남은 작품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20세기의 정신과 삶을 오릇이 일깨워 주고 있다.                                                                                                                                                                                                                                                                                                                                      -위   -위의 글은 입구에서 나눠준 팜프렛에 실린 글입니다.한번 읽고 버리기엔 너무 좋은 글이라서 이 포스팅에 옮겨 놓습니다.      

   아래에도 계속됩니다.-                                                                                                                                                                                                                                                                                                                                                                                                                                                          

 

 

제1부

근대적 표현의 구현 -1920-1930년

1. 김인승- 화실 1937    2.오지호- 남향집 1939    3.구본웅- 친구의초상 1935    4. 배운성- 가족도 1930-35 

 

한국근대미술은 고유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의 급변하는 사회변혁과 여러 경로를 통한 외국문화

의 유입에 의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서구적인 미술의 도입은 회화분야에 이ㅛ어 고희동이 1915년 도쿄미술학교 서

양화과를 졸업한 이후 본격화 되었다. 당시 미술가들에게 미술이란 유채,수채등의 재료,기법과 양식, 전통적인 사회관과는 다른

조형방식,그림을 다루고 감상하는 방식,전시회를 비로산 대외적 활동,감상자들의 감상활동 등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이전에는 

전혀 접하지 못한 새로운 과제였다. 1920년대부터 일본을 비롯한 프랑스,독일 등지에서 유학한 화가들이 귀국함과 동시에 국내

  에서 미술을 공부한 화가들의 증가로 인해 화단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유화를 시작으로 하여 조각, 공예와 같은 장르의 구

분이 생기고.화가.미술가라는 새로운 직업이 탄생하게 되었다.                                                                                       

 

                                                                                

  당시 미술가들은 기법가 양식에 있어서 주로 일본에서 영향을 받아 고전주의적 사실주의, 일본화풍의 인상주의를 위주로 그림을

   그리고,학습하였다. 대상의 재현을 위주로 한 사실주의 양식은 1922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와 1950년대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의 중심적인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문화정치의 일환으로 시작된 조선미술전람회는 식민지 조선에서 개최된

최대규모의 공모전으로서 당시 전시공간과 기회가 열악했던 미술가들에게는 그들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1920년대 후반부터 점차 펴현주의,추상미술,전위미술 등을 시도하면서 1930년대에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다루려는 경향이 등

장하고, 독창적인 그림을 그리려는 노력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제2부

새로운 표현의 모색 1940-1950년대

5.이중섭- 소 1953년경     6.박고석 -가족 1953    7.박수근-빨랫터 1954    8.김한기-산월 1958

 

1940년대 초 전쟁의 여파로 화가들은 전시 체제 하의 시각매체에 동원되거나 그와 반대로 저항의 태도로서 침묵하고 그림을

그만두기도 하였다.이러한 상황은 1945년 광복 이후 급변하였다.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의 영향을 부정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미술계 역시 일본에서 이제 미국과 유럽으로 바뀌게 되는 가운데 작가들은 저마다

새로운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더욱이 1946년 이후 서울대를 비롯하여 여러 미술대락이 설립되어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한 예

가들이 교수진으로서 후학을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그들과 그들의 제자들은 광복, 식민잔재의 청산, 좌우 이념의 대립, 한

국전쟁, 냉전, 전쟁을 통한 분단 등 격동의 시기를 경험하면서 사싷주의 양식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었다. 여기에는 억눌렸던

개인의 내면에 대하여 성찰하고 이를 표출하려는 창작태도가 되살아난 점도 일조하였다.                                               

 

 

  광복 직후 사회적 혼란기와 한국전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가들은 작업활동을 지속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피난

    생활 중에서도 전시회가 지속적으로 개최되었다. 1949년 정부에 의해 대한민국미술전람회가 개최도기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에

   도 지속됨으로써 어느 정도 미술계의 명맥이 유지 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점차 그러한 분위기에 반기를 든 진취적인 작가들이

  1957년 모던아트협회, 현대미술가협회,창작미술가협회,신조형파, 백양회 설립하였다. 이러한 협회들은 서구현대미술의 조형

       이념을 따르면서 대한민국미술전람회를 외면하는 재야의식을 표방하였다. 한편 미술의 개념이 성숙됨에 따라 1950년대부터 구  

      상과 추상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일부 화가들은 양 쪽의 장점을 동시에 취하여 구상과 추상을 함깨 그리  

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제3부                             

   전통의 계승과 변화 -수묵채색화-                                  

              9.이응노 -향원정 1958   10.변관식 -외금강삼선암추색 1959   11.김기창- 아악의 리듬 1967   12.천경자- 길례언니 1973  

 

19세기 중엽까지 특수계층에 국한되어 함유되던 전통적인 수묵채색화는 개화기와 20세기 초반에 접어 들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

하였다.사화에 있어서 종해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태도와 일본화의 영향을 받아들여 변화하려는 전통과 혁신이라는 양분된 구도를

 펴게 된 것이다. 1918년 창립된 서화협회는 미술교육,휘호회,전람회,작품 매매 등과 같은 전문적인 활동을 표방한 한국근대미술의

   최초 미술인단체로서 1921년부터 1837년 서화학원 개설을 통해 후진 양성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인식 전환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서화협회에 참여하고 여기에서 배웠던 많은 이들은 이후 20세기 중반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화단을 이끌었다.           

 

1922년 조선총독부에 이해 시작된 조선미술협회는 동양화부와 서양화부가 중심이었는데 수묵채색화는 이러한 공모전에 의해 본래

 의 전통적 예술관이 변화하게 되었다. 주체에 있어서는 기존의 실경산수화, 사군자, 서예 이외에 인물화, 풍속화,역사화와 같은 새로

  운 주제가 등장하였지만 절차 사군자와 서예의 중요도가 악화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일본색의 탈피와 모더니즘의 수용은 수묵채색

 화가들에게 제일 중요한 과제였다.수묵채색화들은 입체파.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와 같은 서양의 현대미술관을 융합하였다. 또한 

 1960년대 이후 전위미술의 등장으로 인해 수묵체색화단은 반전통적인 조형이념과 기존의 보수적인 체제에 도전하려는 의에서 추상 

 미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제4부

추상미술의 전개  1960-1970년대

13. 유영국 -무제 1967   14. 장욱진 -가로수 1978   15.최영림- 경사날 1975   16.한묵 - 푸른나선 1975

 

1960년대에는 한국존쟁의 상흔을 극복하고 사회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미술계에서 다양한 활동이 펼쳐졌다. 중견,원로작가들이

개인전을 본격적으로 개최하게 되었으며 미술대학에서 정규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들이 활동을 시작하면서 화단에 활력을 불어 넣

기 시작하였다. 1970년 부렵에는 국전의 서양화 부분에서 출품되는 작품의 영향이 비구상.추상 계통의 세력이 대거 등장하였다.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민간에 의해 기획된 전시 역시 추상미술의 전개에 박차를 가하였다.                                                    

 

 

국전의 권위에 반기를 들고 국전을 대체할 만한 새로운 미술의 정립을 위하여 1967,68년<현대작가 초대전>조선일보사주최를 시작

으로 하여 1970년<한국미술대상전>한국일보사주최, 1972년 <양떼팡당전>등과 같은 전시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전시들에 힘입어

 1970년대 들어서서 추상미술은 실험미술과 함깨 화단의 새로운 돌파구로 간주되었고 주도적인 경향으로 자리잡았다.추상미술은 미

  술가들의 독자적인 개념과 자유로운 표현을 기반으로 하여 미술가들의의식과 사상을 기법과 표현의 흔적,재료의 물질감과 조화시켜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새로운 표현양식으로 받아들여졌다.                                                                                            

 

 

 

 

 

이중섭- 황소 2013.10.29-2014. 02.07까지  이인성 -어느 가을 날 2013.10.29-2014.02.07  박수근-행인 2013.10.29-2014.01.31까지

박수근- 절구질하는 여인 2013.10.29-2014.02.07                                                                                                                 

 

 

 

 

 

 

명화를 만나다. 한국근현대회화100선

장소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기간-2013.10.29~2014.03.30일까지

 

관람시간 : 화요일.목요일  10:00am-7.00pm

                          금요일.일요일   10.00am-9.00pm          

       

 

 

 

                                       입장료 65세미만 어른 6.000원(덕수궁입장료1000원 포함) 전시문의 02)318-5745                                                                                                                         

교통안내 : 지하철1호선 시청역  2번출구        

       지하철2호선 시청역  2번출구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작가들의 명화를 만나는 기쁨은 더 없이 행복했습니다.                                            

            여러분들 모두 좋은 기회에 보기힘든 명화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는 뜻깊은             

                                               시간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