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추사 김정희의 현판이 있는 봉은사 판전과 이 곳에 관한 이야기

낭만여행 사찰

by choi123 2011. 8. 10. 13:00

본문

 

 

 

                                                              봉은사 판전 현판

 

                                                 Hanging Board in panjeon Hallof Bongeunsa Temple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삼성동 73번지 제83호 시대는 1856년 ( 철종기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번지 봉은사 이 현판은 조선후기 문인서화가 추사 김정희

                                             ( 1786-1856 )가 쓴것이다.

                               

 

                        판전 :  봉은사에는 서울기유형문화재 제84호인 " 화엄경소 " 를 비롯한 종 15종 3438매의 많은 목판본이

                                  있는데 판전은 바로 이 목판본을 보관하기위하여 세워진 전각이다.

                                  이 판전은 처음 남호 영기대사가 조성한 80권의 " 화엄경소 " 를 봉안하기위해 지여졌다가 그 뒤로

                        다른 경판들이 모여지면서 지금과 같은 방대한 양이 되었다. 판전은 1856면 (철종 7년 )으로 현재

                        봉은사에 남아 있는 전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1856년 ( 철종기 ) 에 영기스님이 새긴 ( 화엄경 수소 연의초 ) 등의 경판을 봉은사에 안치하기 위해 법당을 지었다.

                  이 현판의 크기는 새로 77cm. 가로 181cm 이다.

 

                  김정희는 1852년 ( 철종3년 ) 에 북청의 유배지에서 풀려난 뒤 과천에 있는 과지초당에 머물렀다.

 

 

 

 

 

 

 

 

                                     그 곳에서 봉은사를 왕래하다가 1856년 10월 10일에 별세하였다.

 

                                     이 현판은 그가 별세하기 사흘 전에 쓰여 졌다고 전해진다.

 

 

 

 

 

 

                                 이 현판의 글씨는 어리숙하면서도 굳센 필체를 드러낸다.

                                 특히 " 전 " 자의 왼삐침을 곧게 내려 누른 점이 돋보인다.

 

                                 말미에 " 칠십일과병중작 "  71살 과천늙은이가 병중에 쓰다. " 이라고 낙관하였다.

                                 " 과 " 자는 김정희가 과천에 머물던 때의 별호인 과로, 과옹을 의미한다.

 

 

                                

 

 

                                      봉은사 마당 한켣에 추사 김정희의 추모비가 모셔져 있다.

 

                               

                                     꾸임이 없는 졸박한 글씨에서 김정희 말년의 청정무구한 심상을 엿볼 수 있다.

                                     봉은사 대웅전 현판도 김정희가 쓴 것이다.

                              

                                     위의 글은 판전 옆 설명되어 있는 글과 봉은사 사무처에서 내게 프린트해준 자료를 옮긴 것이다.

 

 

 

 

                   판전안에 모셔져 있는 후불탱화에 대하여....

 

                  불단의 석가불 뒤로 석가후불탱화가 걸려 있다.

                  이 그림 역시 영산화상도의 일종인데, 특이한 것은 도설된 내용이 아주 간략하게 처리되었다는 점이다.

                  대체로 영산회상도에는 석가불외에 미륵보살, 지장보살, 제장애보살, 금강경보살을 비롯한 십대제자나 화불 등이

                  화면 빼곡이 들어차는 것이 보통이나 , 이 그림에는 화면 가운데에 설법인을 하고 앉아 있는 석가불을 큼지막하게

                  배치하고서 그 좌우에는 각각 다문천왕. 광목천왕과 지국천왕, 증장천왕을 배치하였다.

                  화면 상단에 보이는 서운과 좌우의 두 마리 용이 다소 형식적으로 처리되였지만 나름대로 화면의 여백을 처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고, 또 석가불 좌우에서 합장하고 있는 아난과 가섭 두 존자도 경직된 모습이 아니라 부처님의 설법을

                  귀이울여 듣기 위해 부처님을 향하여 상체를 약간 구부리고 있는 모습 등에서 매우 사실성을 느끼게 한다.

                  그 밖에 사방에 배치된 사천왕도 각각의 고유한 지물을 손에 든 채 아양한 얼굴 표정을 짓고 있으며, 석가불 아래에서

                  마주하고 서 있는 두 보살의 얼굴에서도 어떤 희열 같은 것을 찾을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수법이 매우 뛰어난 수직이다.

                  이 후불탱화 그림은 1886년 ( 고종 23 ) 영명 천기 금어 스님이 그린 것이다.  탱화크기는 230의 226cm이다.

 

 

 

 

 

 

산중탱화                                                

 

 산중탱화는 화면 상중하의 3단으로 분류되면서 104의혹은 39위의 신중이 나뉘어 도설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보통 상단에는 인도의 토속신을  중단에는 중국의 토속신을 그리고 하단에는 한국의 토속신을 배

      치하곤 한다.                                                                                                                                

      

목판본                                               

 

1984년 문화재관리국에서 펴낸 " 사찰소장목판집 " 에 의거하면 판전 안에는 현재 총 15종3428판에 달하는

 많은 양의 목판본이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전체 15종의 내용을 알기 쉽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대광광불화엄경                                    

 

 이 경전은 처음 중국 당나라의 실차난타와 징관이 각각 번역하고 찬 한 것으로, 흔히 " 화엄경 "으로 줄여 부른다.

주된 내용은 부처님이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경전으로, 여러 대승불교의 경전 가운데도

  교학적. 사상적으로 불교의 핵심을  가장 깊게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책의 한역본으로는 본래6본이 있었

 으나 지금은 40화엄,60화엄,80화엄 등으로 불리는 3본만이 전하며, 이 가운데 80화엄이 바로 실차난타가 695~

  699년 사이에 번역한 것이다. 이 3본에는 모두 경정의 내용을 해설한 주석서가 각가 따로 있는데 80화엄에 관한

   것은 장관(737~838)의 것이 가장 유명하다. 이 봉은사 " 화엄경소초" 가 바로 그 책이다 .                                 

 

2. 불설천지팔야신주경                               

                             

 중국 당나라 의정이 번역한 것을 조선의 경화스님이 주석및 서문과 발문을 적은 것이다.                                 

      전체가 결판된 것 없이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으면 한글로도 음석되어 있다. 1839년 (현종 5년 ) 강원도 철원에       

 있는 보개산 석대암에서 개간하였다.                                                                                                     

 경화스님은 조선후기의 고승으로, 1786년 (정조 10) 밀양에서 태어나 경기도 양주의 화양사에서 출가해여 여러

 고승들에게 불법을 배워 학덕이 높아졌는데 특히 " 화엄경 " 에 능했다고 한다.                                              

  그래서 전국의 화엄대회가 있을 때마다 회주가 되어 일생 동안55번의 법회에서 83회나 " 화엄경" 을 강설하였다. 

 

         주로 석대암과 가야산 해인사에서 있으면서 경을 강설하는 한편 계송67품을 짓기도 했다.                                                   1848년 ( 현종 14 )경기도 가평의 현동사에서 입적하였다.                                                                                  

 

 

3. 천태산국청선사삼은집                        

                            

중국 당나라의 여구운이 펀찬한 책으로 서문, 한산시, 풍간선사록, 습득록, 삼은집, 지수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목판본과는 달리 불교 경전은 아니다. 한산시는 당나라의 한산이라는 고승이 지은 시를 말한다.      

그의 본래 이름은 전하지 않고, 천태산 가까운 곳에 있는 한암이라는 깊은 굴속에서 지냈으므로 사람들이 그렇게  

불렀다 한다. 국청사애서 습득이라는 스님과 함깨 어울리곤 했는데 리행을 일삼아 비록 사람들이 그를 미친 사람  

이라고 여겼어도 그가 하는 말은 언제나 불법에 정통하였으며 또한 시를 아주 잘했다고 한다.                            

 

 

4.육조대사 법보단경                              

 

 중국 선종의 제6조 혜능(638~713 )대사의 설법을 그의 제자인 법해가 모은 글이다.                                         

  육조단경. 법보단경 혹은 그냥 " 단경 " 으로도 부른다. 이 책은 본래 행유,반야,의문, 정혜,좌선,팜회,기연, 돈점,선소

     부촉 등 전부 10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봉은사 판에는 현재 결판괸 것이 많다.                                            

 

 

5.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당나라 가범달마가 번역한 경전으로 " 천수경 " 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이며, 천수관음 대비주 로 널리 유통되고

  있다.    곧 천수천안관음보살의 내중의 공덕을  설한 근본주이다.                                                                   

 이 봉은사 소장 목판본은 1857년 ( 철종 8 ) 봉은사에서 개간된 것이다.                                                          

                                                                                                           

6.초발심 자경문                                                      

 

       초발심자경문 이란 신라의 원효스님이 지은 " 발심수행장 "과 고려 지눌, 야운스님이 각각 지은 " 계초심학인문, 자경문

   의 셋을 후세에 합하여 한 책으로 만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출가한 스님들이 배우는 책이다.                     

이 봉은사 판본애는 10판이 모두 완전히 갖추어져 있다                                                                             

 

 

                                                                        

 

 

7.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                                   

 

스님들이 절에서 식사 공양을 할 때 말없이 묵언하는 계울을 적은 책으로, 누가 지었는지는 알 수 없다.

계송은 한문으로 되었고 중간에 " 옴발따라야사바하 " 와 같은 주문이 한글로도 표기되어 있다.          

 

 

   8. 불셜아미타경                                                  

 

          중국 후진의 구마라집이 번역한 아미타경을 순한글로 변역한 것으로 그간기에 " 을묘츄 봉은 ㅅ 기간 " 이라는

               말이 있다.    " 아미타경 "은 아미타불의 공덕이 장엄함을 설하고 , 아미타물의 명호를 마음에 굳게 간직하여 흐트

                       러짐이 없으면 극락왕생한다는 내용과, 또 극락국토의 장엄함 모습 그리고 아미타불의 명의등을 설한 경전이다.          

                    한역은 420년 무렵 구마라집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무량수경 " ,을 대경으로  "아미타경" 을 소경으로 부르기도 한다.

                   봉은사의 이 " 불셜아미타경 "은 8판이 모두 완전한 채 갖추어져 있으며, 1915년 개간된 것으로 보여진다.                                           .                     

9. 불설칠수지불모준제대명다라니경                    

 

                   당나라 금강지가 번역한 경전을 개간한 것으로 " 칠구지불모 ' 라는 것은 천태종에서 전하는 밀교인 태밀의               

        진언으로 쓰이는 말로서. 6관음의 하나인 준제관음의 큰 닥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봉은사 목판본을 12판의 완본으로 되어 있다.                                                                              

 

 

                                                         10. 금강반야바라밀경

 

                       구마라집이 번역한 것을 명나라의 천로가 해설한 책이다. 그래서 제목이 " 천로금경 " 이라고 되어 있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은 구마라집 외에 보리유지. 진제. 급다. 현장. 의정등의 여러 서람이 번역한 비슷한

                       내용의 것이 많이 있는데, 반야 게통의 여러 경전들 가운데도 " 반야심경" 다음으로 널리 읽혀지고 있으며

                       특히 선종에서 중요시되어 온 경전이다. 봉은사 목판본은 1869년 (고종6 )에 개판된 것이다.

 

 

 

 

 

 

 

                                                          11. 화엄경범행품

 

                        당나라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 대방광불화엄경 " 가운데의 "범행품" 판본이다.

 

 

                                                           12. 고왕관세음경

 

                         한문으로 된 내용 옆에 한글로 음석을 달아 놓았는데, 현재 1판만이 전하고 있어 결판이 많은 편이다.

                         고왕은 33관음 가운데 하나로서 " 유리광음 " 이라고도 한다.

 

                                                           13. 석가여해유적도. 목환자경

 

                           석가여래유적도는 부처님의 두 발다닥을 그려 넣고 그 안에 법륜. 쌍어. 향로. 만자등을 그린 것이다.

                           옛날부터 이렇게 불족을 돌이나 나무에 새긴 것이 있었는데, 이것은 누구나 부처님의 발자국을 보고

                           존경해 하면서 기뻐하면 한량없는 죄업을 소멸할 수 있다고 여겨 이것을 만들어 숭배하고 공경했기 때

                           문이다. 또 " 목환자경 " 은 염주 쓰는 법을 적은 책으로서, 가운데에 염주를 그려 넣고 그 안과 둘레에

                           경전의 내용과 여러 불보살들의 명호을 가득 써넣은 책이다.

                           목환자는 무환자 라고도 하는 것인데, 모감주나무 무환자과의 낙엽 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다. 이 열매

                           로 108염주를 만들어서 불. 보살. 달마. 승가의 이름을 외면 죄가 없어지고 생사를 면한다 하며, 또 이름

                           을 외우는 횟수에 따라 그 공덕의 얕고 깊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불족도 및 목환자경의 판본 아래에는 이것을 새긴 간기와 시주자 이름이 개겨져 있다.

 

 

                                                             14. 금강경탑다라니

 

                             전체 1판으로만 되어 있다.

 

 

                                                              15. 유마힐소설경

 

                             구마라집의 변역에 명나라 통윤이 직소한 것이다. 소라는 것은 경 논의 문구를 해석하여 어려운 곳을 알기

                             쉽게 풀이한 것을 말한다.  " 무마힐소설경 "은 흔히 " 유마경 " 으로 부르는데 역사적으로 보면 " 반야경 "

                             다음에 나타난 대승불교 초기의 경전으로서 그 성립이 매우 도래된 것 가운데 하나다. 내용은 부처님의 재가

                             제자로서 출가제자들보다 수행과 공덕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는 유마거사의 병중에 문수보살이 여러 성문

                             보살들과 함깨 문병와서 나눈 대화를 엮은 것이다. 그 때 유마거사는 여러 가지 신통을 보이며 불가사의한 해

                             탈상을 나타내고 아울러 서로의 문답을 통해 무주의 근본으로부터 일체법이 성립되는 것과 삼라만상이 모두

                             불어의 일법 안에 있다는 법문을 보였다.

 

                              ( 15경에 대한 해석과 설명에 대한 글은 봉은사 사무처에서 복사해준 내용을 옮겨 놓은 것이다.)

 

 

 

 

 

 

                      처마 밑에 달린 은은한 풍경소리가 고즈넠한 산사에 고요함을 깨운다.

 

                            행복도 슬픔도 모두 이 마음하나에 담겨 있는 것을 .....우리는 이 마음하나 잡지 못하는 어리석음으로

                      많은 시간 번뇌와 갈등에 사로 잡혀 살기도 한다.

 

 

 

 

 

 

        이 곳에 머무는 동안은 때로는 뒤엉켜버린 실타래 같았던 마음도 어느 새 가지런히           

                         놓여 있고 평온함과 감사한 마음이 온 몸을 감싼다 .                                                                     

                                                         

                                      행복하세요.^^

 

관련글 더보기